본문 바로가기

안경52

눈물과 인공눈물 종류엔 어떤것들이 있을까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 현대인에게 안구건조증은 하나의 증표와도 같습니다. Can't Take My Eyes Off of you 눈을 깜빡이는 0.1초 마저 아까울 만큼 애증 하기 때문이죠. 사장님 ~ 제 눈을 어찌 보시나요 눈물 눈물의 기능 불규칙한 안구표면을 고르게 만들고 2~3초 간격으로 깜빡여 눈을 촉촉하게 합니다. 눈물의 물리적인 방출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각막에 필요한 산소와 양분을 제공합니다. 건강한 눈물에는 영양성분과 면역성분이 풍부합니다. 눈물의 구성 눈물의 98%는 수분이고 나머지 2%는 알부민, 글로블린, 라이소자임과 같은 고농도 단백질과 글루코오스, 염화칼륨,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알부민은 전체 단백질의 60% 정도이고 글로블린과 라이소자임은 각각 20%씩 정도입니다. 눈물이.. 2023. 11. 15.
인공눈물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인공눈물 4천 원에서 4만 원으로 인상예정 뻑뻑한 일상만큼 눈 깜빡일 시간도 없이 바쁜 현대인들에게 큰 이슈가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인공눈물의 오남용 문제가 심각하여 내년 2024년부터 비급여로 전환된다고 합니다. 인공눈물 가격이 한 박스 60개입 4천원에서 최대 10배인 4만원까지 오른다고 합니다. 기뻐서 울고 슬퍼서 우는 우리에게 눈물도 함부로 흘리지 못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인공눈물 (히알루론산 점안제) 인공눈물은 눈물과 비슷한 pH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눈물은 안구표면에 윤활작용을 하고, 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며 안구를 세척해 주는 역할도 합니다. 히알루론산 점안제는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질병뿐 아니라 평소 눈이 뻑뻑한 사람들도 많이 사용하는 전문의약품입니다. 히알루론산은.. 2023. 11. 12.
안경렌즈 코팅과 렌즈 관리법 안경렌즈 코팅 종류와 관리 일반적인 플라스틱 렌즈만으로는 빛이 반사되어 또렷하게 볼 수 없습니다. 안경도수도 중요하지만 아름다운 세상을 마음껏 누리려면 빛을 온전히 투과시켜 주는 코팅렌즈를 사용해야 합니다. 안경렌즈 코팅의 종류 무코팅 무코팅 렌즈 같은 경우 빛이 반사되어 우리 눈이 또렷이 보이지 않아 육안으로 구별이 가능합니다. 보통 안경에 들어있는 렌즈들은 광학적 기능이 없는 형태유지용 플라스틱렌즈입니다. 간혹 도수 있는 렌즈가 필요 없는 사람들 중 기존에 있던 렌즈를 빼지 않고 그냥 사용하는데 그렇게 되면 안경을 착용하는 것보다 눈에 피로를 주는 행위이므로 꼭 광학적 기능이 있는 렌즈로 바꾸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우리나라 안경렌즈 중에선 사용하지 않고, 안경프레임 형태유지용으로만 사용합니다. 선명도.. 2023. 11. 9.
구면렌즈 비구면렌즈 양면비구면렌즈란 안경렌즈 종류 안경렌즈 종류 중 단초점렌즈 안에 구면, 비구면, 양면비구면렌즈가 있습니다.단초점렌즈란 초점이 하나인 렌즈로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안경렌즈입니다.그러나 구면, 비구면, 양면비구면렌즈를 구분하는 이유는 렌즈 특성상 생기는 수차 때문입니다.게다가 대부분 안경착용자들의 경우 근시가 많습니다.근시는 오목렌즈로 교정이 가능하고 렌즈 특성상 중심이 얇고 주변부로 갈수록 두꺼워집니다.도수가 높을수록 주변부가 더 두껍고 왜곡현상 및 수차가 발생해 안경을 쓰면 어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편안한 시습관을 위해 안경을 착용하지만 도수에 따른 적절한 안경테와 렌즈를 선택함으로써 일상을 보다 다채롭게 보낼 수 있습니다. 안경렌즈 종류와 그에 따른 선택안경렌즈 종류안경렌즈 종류에는 크게 유리렌즈와 플라스틱렌.. 2023. 11. 4.
다양한 근시와 예방법에 대해 근시는 세계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특히 동아시아 국가 학생들의 80~90% 정도가 근시이고 그중에서도 우리나라가 가장 높다고 합니다.게다가 대도시에 사는 청소년들의 97%가 근시이고 10~15%는 안질환을 유발하는 병적근시라고 합니다.과거와 달리 현재 어떤 이유로 근시가 많아졌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근시(Myopia)란근시는 눈에 들어온 빛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는 증상을 말합니다.즉, 가까운 물체는 선명히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물체는 흐리게 보입니다. 근시 종류 굴절성 근시 안구 길이는 24mm 정도로 정상인데 각막이나 수정체 굴절 이상으로 발생하는 근시입니다.굴절력이 강해지면 빛의 굴절이 심해져 망막보다 앞쪽에 맺히게 됩니다.출생 시 보통 17m.. 2023. 10. 22.
블루라이트렌즈와 깊은 숙면의 비밀 300만 ~ 500만 년 전 지구상 인류가 처음으로 나타나 터를 잡는 동안 현대사회만큼 디지털기기를 달고 살았던 적이 없었습니다.느리고 더딘 인류 역사 속 빛처럼 다가온 디지털기기 그로 인한 우리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루라이트란파란색 계열의 빛으로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기기나 LED 조명에서 많이 방출됩니다.우리 눈이 인지할 수 있는 파장인 가시광선 중 가장 짧은 380 ~ 500nm로 에너지가 강합니다.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강한 만큼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 손상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블루라이트 중 380 ~ 460nm의 파장은 시력저하와 눈의 피로, 안구 건조감 유발, 장기간 노출 시 망막 손상과 황반 변성 위험증가 등이 있습니다.그러나 460 ~ 500nm의 파장은 .. 2023. 10. 20.